매킨토시

From The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듣는 사람이 과일덕(?)이냐 컴덕이냐 [wiki:"오디오필" 오디오덕]이냐, wiki:"뮤지컬" 뮤덕이냐, wiki:"브로니" 포니덕이냐에 따라 뜻하는 대상이 바뀌는 wiki:"마법의 말" 마법의 단어!

McIntosh(과일)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b/bd/McIntosh_with_sticker_by_Lars_Zapf_2006-03-30_cropped.jpg 사과의 한 품종.

캐나다의 온타리오주에서 만들어진 사과로 매우 고급 품종으로 통한다. --그런데 한국계 이주민들은 wiki:"부사" Fuji를 보통 선호한다.--

Macintosh

* 컴퓨터 관련 정보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www.youtube.com/embed/zJahlKPCL9g"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매킨토시 30주년 기념 영상 >30년 전 매킨토시는 기술을 사람들의 손에 쥐어주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매킨토시의 탄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이 영상은 하루만에 전세계에서 [wiki:"아이폰 5s" iPhone]으로 촬영하였습니다.

Mac 30주년 기념 웹페이지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큰 획을 남긴 안상수씨의 작업이 1988년 페이지에서 기념되고 있다.

[wiki:"애플(기업)" 애플]에서 만든 개인용 컴퓨터의 이름. 2006년 이전까지는 거의 유일하게 살아남아 있던 IBM PC 호환기종이 아닌 PC였으며, 프랜차이즈가 출시된지 벌써 30년이 넘어가고 있다(...) 2014년 현재 하드웨어 기본 구조는 IBM PC 호환기종에 맞추고 있고, OS와 소프트웨어는 독자적으로 가고 있다.

줄여서 보통 맥(Mac)이라고 한다. "매킨토시"라는 이름의 유래는 당연히 1. 매킨토시 프로젝트의 최초 구상자인 제프 래스킨이 좋아하는 사과 품종이 이거라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스티브 잡스는 처음에는 이 이름이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지성을 위한 자전거". 줄여서 "자전거"(!)라는 이름을 밀기도 했다고 한다.

나중에는 컨설팅회사에다 돈 왕창 주고 새 이름을 받아 왔는데 그 이름이라는게 "Apple 40"이라든가 "Apple Allegro"같은 이름이었고, 결국 잡스는 저런 이름은 못 붙이겠다면서 "매킨토시"라는 이름을 최종 승인하고 3.의 매킨토시 사에 가서 "매킨토시"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까지 얻어오게 된다. 하지만 뒤끝이 쩌는건지 어떤건지 지금의, 그러니까 인텔칩이 달려 나오기 시작한 이후로는 아예 공식명칭에 "매킨토시"라는 말이 들어가지도 않으며 간간히 제품 포장[* 2009년 이후로 iMac의 새 포장에 나온다고 한다]에만 슬쩍 던져놓는다.

[wiki:"애플 II" 애플 시리즈]의 후속작으로, 애플 리사에서 처음 시험적으로 채택했던 GUI 인터페이스를 전면으로 등장시켜 채용하면서 지금 봐도 매우 획기적인 제품으로 등장하였다. 현재 윈도우즈 등에서 사용하는 '아이콘', '창' 등을 대중에게 최초로 선보인 것이 매킨토시이다. 사실 아이콘, 창과 같은 GUI의 개념은 제록스 연구소 PARC에서 시작했지만, 위지위그형 탁상 출판 워크스테이션의 개발 도중에 나온 부산물로 GUI자체를 노리고 개발한 것도 아니었고 그로 인해 탄생한 제록스 스타의 판매량도 형편없었다. 그러나 애플은 GUI의 가능성을 보고 제록스에게 애플 주식 100만 달러 어치를 주고 필요한 기술을 구했다.

처음으로 출시된 모델은 1984년 1월 24일에 출시된 매킨토시 128K. 이 시절에는 모토로라의 MC680x0 계열 *****U를 사용했으며, 1994년부터는 IBM과 모토로라의 합작품인 PowerPC 60x계열 *****U를 사용했다. 이 시절까지의 매킨토시들은 표준 하드 인터페이스로 SCSI를 사용했고, 키보드와 마우스는 ADB[* 이 물건에서 PS/2 따위는 건너뛰고 바로 USB를 채택.]라는 독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등 PC와의 호환은 손톱만큼밖에 없는 완전 별개의 물건이었지만, 2006년 들어 불구대천의 원수(?) 취급하던 인텔의 *****U를 사용하고, 이에 따라 하드웨어 구조도 x86 아키텍처가 되어 이제는 애플의 독자적인 하드웨어 구조라고 할 만한 것은 남아있지 않은 상태이다. 최근 2011년 라인업에 광통신 기반의 썬더볼트가 추가되기는 했으나, 이것도 사실 인텔의 기술이다.

OS는 전용의 Mac OS X를 사용. OSX 이전의 OS 1부터 9까지는 "[wiki:"Mac OS" 클래식]"이라고 부르며, 파워PC 시절까지는 호환성 문제를 위해 클래식 모드를 일부 남겨놓기도 했지만 인텔 *****U로 오면서 클래식은 내다 버렸다. 성난 유저의 항의공세를 막기 위해 이전의 PowerPC용 프로그램을 돌릴 수 있는 로제타를 내장했었지만 Mac OS X Lion부터 사라졌다. 또한 인텔 맥은 *****U부터 기타 하드웨어 구성이 일반 PC들과 별 차이가 없기 때문에 윈도우 또한 깔아서 쓸 수 있다. 부트캠프가 그것인데, 이것이 발표된 그 날, 나스닥에서 애플의 주가는 5%나 올라갔다(...).

IBM 호환 PC가 널리 쓰이던 시대에도 그래픽작업이나 출판작업 등 특화된 기능이 PC에 비해 월등히 좋았기 때문에 고정적인 수요를 가지고 있어서 아미가, 아타리 등 다른 포멧의 PC가 몰락한 후에도 계속 IBM-PC의 대항자로서 살아남게 된다.

포토샵, 엑셀 등 매킨토시용으로 뛰어난 유틸리티와 어플리케이션이 많았던 것도 매킨토시가 굳건히 버틸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 (그런데 지금의 애플과 어도비의 관계는...)

지금까지도 전체 시장 점유율은 계속 소수에 머물러 있지만 여러 이유로 맥을 선호하는 계층도 있기 때문에 앞으로 시장의 판도가 어떻게 변할지는 장담할 수 없다. 다만 개인용 컴퓨터의 경우 한번 사두면 오래 쓰는게 일반적인데다가 시장은 이미 윈도우 PC로 포화 상태다. 맥의 판매율이 확실히 눈에 띄게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단기적으로는 시장의 판도를 바꾸기 매우 어렵다.

매킨토시의 이름에 대해서 재밌는 일화가 있는데 애플에서 처음 매킨토시를 만들어서 판매할 때 1.의 의미로 McIntosh란 스펠링을 쓰려고 했으나 사소한 착오로 Macintosh로 잘못 표기했다. 애플 덕분에 매킨토시가 더 유명해진 지금은 사과를 뜻하는 McIntosh보다 Macintosh란 단어가 더 유명해지고 사전에까지 등재되었다. 물론 ‘컴퓨터’가 아닌 ‘사과’로...

스티브 잡스의 전기문 비슷하게 된 iCon에서는, 오디오 앰프를 제조하는 매킨토시 사(3을 보라)에서 McIntosh의 사용권을 얻지 못하자 잡스가 에라 모르겠다 하고 비슷한 이름의 Macintosh로 명명했다고 한다.

설명

1980년대말-1990년대 초반에 16비트 위주 컴퓨터 붐이 일었는데, 이때 한국에서 매킨토시는 거의 팔리지 않았다. 그 이유는 [엘렉스 컴퓨터]라는 회사가 한국의 매킨토시 총판역을 했는데, 이 회사가 한국에서 고가정책을 고수해서, 같은 사양의 IBM호환 기종의 세배 정도의 가격을 붙여먹었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1980년대 초,중반에도 삼보컴퓨터의 8비트 컴퓨터 및 엡손 프린터를 판매해 왔는데 이 때에도 닥치고 고가정책으로 유명했다. 단순히 애플 II 호환기종 이상도 이하도 아닌 컴퓨터를 똑같은 타 중소기업(세운상가 매장 수준이 아닌 중소기업 수준의 회사. 80년대 초에는 삼보컴퓨터도 대기업이라고 할 수 없었다.) 제품보다 2배 이상 되는 가격으로 판매했슴은 물론 EPSON 프린터도 현지 가격보다 상당한 고가로 팔았다. 참고로 엡손 프린터의 가격은 80년대 말 병행수입품이 들어오면서 가격이 내려갔다.] 1990년대 초반 386급에 컬러모니터를 갖춘 용산표 조립 컴퓨터가 200만원 안팎이었고 [wiki:"삼성전자" 삼성]이나 [wiki:"LG전자" 금성]같은 대기업 제품은 250만원 정도였는데, 비슷한 체급의 매킨토시는 600만원을 넘는 가격을 붙여놨다. 애플 본사가 당시 고가정책을 편데다가, 한국에서는 총판사인 엘렉스 컴퓨터가 값을 더 올려놓았으니 잘 팔릴리 만무하다. 오죽하면 당시에 해외에 가서 맥을 사 오는게 더 쌀 지경이었다는 농담같은 전설들이 아직까지도 들릴 정도. [* 단 이것은 비행기값같은 걸 제외하면 현재도 유효하다. 특히 삼성의 갤럭시 패드 시리즈는 미국에서 사면 한국보다 거의 반값으로 살수 있다. 다만 당시에는 비행기표 값과 공항에서 무는 관세를 감안해도 맥을 한국에서 사는것보다 그편이 더 쌌다는 전설적인 이야기다. ] {{{#!html <iframe width="42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A2Qo7evyihU"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1990년대 초반 엘렉스 컴퓨터의 광고. 광고 속 모델은 파워 매킨토시 6100.

1990년대 후반까지 매킨토시는 거의 컴퓨터 그래픽 전문가 또는 해외유학파만 쓰는 기종이었다. 이후 엘렉스 컴퓨터가 손을 떼고 나서도 큰 증가세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아이폰아이패드가 나오고 애플에 대한 한국 내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경품으로 맥북 에어가 걸리는 이벤트들이 널려 있는 등 갑작스런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윈도우즈가 아니면 이런저런 작업을 하기 힘들기 때문에 여전히 맥 유저는 소수파에 머물러 있다. 게다가 2009년 들어 정신나간 환율까지 더해져서 된장템이라는 이미지도 생기고 있다. 2011년 [대한민국]의 맥 사용자가 1%를 넘었는데 이게 시장 점유율인지 사용률인지에 대해선 확실치 않다.

아직까지도 한국에서는 [Active X]를 쓰기 싫어도 억지로 써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애로사항이 넘쳐난다. 쇼핑, 인터넷뱅킹은 물론이고 관공서 홈페이지 이용도 힘들다. 좀 심한 경우에는 자기 학교 통합정보시스템에 접속조차 할 수 없는 경우도 허다하다. 오픈뱅킹을 시작으로 오픈쇼핑 등 크로스플랫폼 크로스브라우징이 가능한 서비스가 많아지고는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트랜지션

스티브 잡스의 표현에 의하면 맥은 세 번의 '트랜지션'(transition)을 겪었다. 하나의 플랫폼이 이처럼 *****U를 두 번 갈아치우고 OS도 한 번 갈아치우는 일은 흔하다고 할 수 없다. 이러한 경험은 애플이나 맥 플랫폼 자체에 있어서는 엄청난 유연성을 제공해주는 상당한 자산이다. 그러나 이러한 트랜지션이 서드파티 개발자나 기업 사용자로 하여금 피눈물을 흘리게 하는 것도 사실이다(...)

68k에서 PowerPC

쫄딱 망한 기존의 wiki:"애플 리사" Lisa용 그래픽 API가 모토로라의 68000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위한 것이었고, 적어도 매킨토시 개발 당시에는 8086보다 68000이 성능면에서 우월했기에 맥은 모토로라의 680x0 계열(이하 "68k")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해왔다. 그러나 68k를 계승할 모토로라의 88000이 싹수가 노랗다는 것(...)을 알게 된 애플은 [IBM]과 손을 잡고 모토로라도 끼워서 AIM(Apple, IBM, Motorola)동맹을 결성한 다음 차세대 맥에 [PowerPC]를 채택하기로 결정하였다. 68k와 ppc는 전혀 다른 아키텍처이기에 애플과 모토로라는 호환성 확보를 위해 PowerPC에 68k 명령어를 일부 심고, 한편으로 Mac OS 자체에 소프트웨어 에뮬레이터를 심음으로서 문제를 해결했다. 결과적으로는 그럭저럭 만족스러운 성능을 낼 수 있었고, 애플은 PowerPC용 Mac OS의 개발기간을 절약하기 위해 Mac OS에 68k 코드를 잔존시킨다는 결정을 내릴 수 있을 정도였다. OS가 부분적으로는 네이티브 코드가 아니라는 말인데, 그렇게 하더라도 전체 퍼포먼스에 커다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이니 그만큼 에뮬레이터의 성능이 뛰어났다는 것이다. 다만 끝까지 완전한 네이티브 PowerPC 버전이 나오지 않았으므로 어디까지 잠재능력(?)을 끌어냈는지는 미지수. 또한 하나의 실행 파일에 68k와 PPC 코드를 모두 포함하는 FAT 바이너리도 등장하였다. 이 정신은 뒤에 OS X의 유니버설 바이너리로 이어진다(...)

Mac OS에서 Mac OS X

선점형 멀티태스킹 등을 지원하는 Windows 95가 출시되었으나, 이에 대항하기 위한 애플의 [wiki:"코플랜드 OS" 코플랜드 계획]이라든가, IBM과 공동으로 진행하던 탈리전트는 실패하고 결국 애플은 NeXT를 ~~잡스와 함께~~ 회사 째로 구입하여 동사의 NeXTStep을 Rhapsody라는 이름으로 맥용으로 포팅하게 된다. 그 랩소디가 바로 오늘의 OS X.

OS X은 NeXTStep 시절 68k에서 작동하다가 x86 버전이 출시되었고, OS X이 되면서 PPC에서 돌아가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하여 인텔칩 장착 맥이 등장할 수 있다는 루머가 돌기 시작했으며[* 사실, 클래식 Mac OS 시절부터 인텔 칩 위에서 돌아가는 Mac OS가 개발중이라든가 하는 루머는 끊임없이 있었고, 심지어 거의 실제로 작동하는 버전이 나왔는데 마이크로소프트가 죽였다(...)는 등의 루머도 있다. x86 버전이 정식으로 출시되었던 NeXTStep이었기에 인텔칩 장착 루머는 더욱 힘을 얻게 된 것이다.], 결국 OS X으로의 트랜지션은 이후 인텔로의 트랜지션을 위한 복선이 되었다(...).

PowerPC에서 인텔로

등장 당시에는 x86을 발라버리는 성능을 보여주었던 PowerPC였으나, PC 시장에 관심을 잃은 IBM, 임베디드 PowerPC에 맛들린 모토로라는 정작 매킨토시에 장착하기 위한 버전의 PowerPC의 개발에 소극적이 되었던 반면,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반의 인텔은 AMD를 따돌리기 위해 계속해서 자사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업데이트하고 있었다. wiki:"인텔 펜티엄4 시리즈" 넷버스트가 아무리 비효율적이라고는 하나, 미칠듯한 클럭빨(...)은 PowerPC보다 나은 성능을 달성하는 데 성공했고, 인텔은 센트리노 플랫폼으로 저전력-고성능 플랫폼의 가능성을 보여준 반면, PowerPC를 개발하는 IBM은 크고 아름다운 서버용 *****U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데스크탑이야 어쨌든간에 노트북용 PowerPC의 업데이트는 난망한 상태였다. 결국 애플은 인텔로의 이주를 결정하게 되었다.

일단 이주를 발표하고 나면, 발표 후로부터 인텔칩을 실제로 장착한 맥이 출시되기까지 수개월에서 1년간 맥의 판매를 거의 기대할 수 없게 되므로 애플로서는 모험이라고 할 수 있는 결정이었고, 사실은 그 점이 1990년대 말부터 지속적으로 존재하던 인텔로의 이주 루머에 대한 가장 강력한 반론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잡스는 결단을 내렸는데, 맥을 판매할 수 없게 되는 수개월간 그 공백을 메꾸어줄 [wiki:"아이팟" iPod](...)이 있기에 가능한 결단이었다.

결과적으로 인텔로의 이주는 다들 알다시피 대성공. 그리고 이 과정에서 만들어낸 Universal Binary는 장차 맥이 또다른 아키텍처로 옮겨갈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두 번이나 옮겼는데 또 옮기지 말라는 법은 없지~~

이 과정에서 하드웨어 구조가 x86 아키텍처로 바뀌면서, 하드웨어적으로는 IBM PC 호환기종과 같아졌다. 부트캠프를 통해 윈도우 설치가 가능해진 것도 이 때부터다.

하드웨어의 특징

모토로라의 680x0 계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던 68k 시절부터 PowerPC를 사용하던 시기까지, 애플은 ~~소니처럼~~ 독자적인 하드웨어 규격을 고수하는 경향이 있었다. 맥이 처음 등장했던 때에는 그래도(...) 잘하면 IBM 호환 PC에 다시 승리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이 있었기에 굳이 당시로서는 성능이 떨어지던 IBM 호환 PC의 규격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고성능의 독자노선을 추구했던 것이다. 그러나 스티브 잡스가 애플에 복귀한 1997년 이후 업계표준의 규격들을 거의 대부분 수용하게 되고, 자신의 규격들도 널리 공개하여 표준화시키려는 노력을 하게 되었다. 덕분에 오늘날에 와서는 드라이버만 지원하면 PC용 주변기기 하드웨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램이나 하드디스크, 마우스 등의 경우는 별도의 드라이버조차 필요없이 PC용 제품을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다.

* 초창기 클래식 맥은 롬 바이오스에 그래픽 라이브러리 등을 올려두었다.
* NuBus[* '누 버스'라고 읽는다. ~~wiki:"f(x)/음반 목록" Nu ABO?~~]라는 독자적인 확장슬롯 규격이 있었다. PC의 ISA와 유사한 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PowerPC 맥의 등장과 함께 PCI로 대체되었다.
* 저가형 맥에는 PDS(Processor Direct Slot)이라는 확장슬롯이 제공되었다. 위의 NuBus와 달리 범용 확장슬롯은 아니다. 범용이 아니라는 것이 무슨 뜻인가 하면, PCI나 ISA, NuBus 용 카드는 해당 슬롯이 있는 기기라면 어디에든 꽂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PDS 용 카드는 PDS  슬롯이 있다고 해서 꽂아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기종을 가린다. 왜냐하면 Processor 'Direct' Slot 이라는 이름 그대로 *****U와 저수준에서 통신하기 때문에 *****U의 종류와 관련이 깊기 때문이다. 즉, 68030 마이크로프로세서용 PDS 카드는 68040 맥에 장착할 수 없다.달리 말하면 PDS 기기는 맥의 모델별로 다 따로[* 물론 일부 모델들간의 PDS 슬롯은 규격이 같기도 하다.] 있다는 것이다(...) *****U와 직접 통신한다는 점, 로직보드 하나에 한 개의 슬롯만 허용된다는 점에서 AGP/PCI-E와 유사하지만, PDS는 범용성이 없다는 점이 다르다.[* AGP/PCI-E 카드는 해당 슬롯이 장착된 기기라면 일단은 꽂아서 사용할 수 있다. 드라이버가 있다면 말이지만. 더구나 PCI-E는 더 범용적이다(요즘 나오는 메인보드만 하더라도 PCI-E가 최소 2개 이상 존재하며, 크로스파이어/SLI를 위해서 PCI-E 16x 슬롯이 복수 존재하는 모델도 많음을 상기하자).] 저가형 맥의 로직보드에서 NuBus를 위한 부분을 제거하여 단가를 낮추면서도[* NuBus와 달리 PDS는 그저 *****U에서 선을 하나 뽑아놓은 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일정한 사후 확장성[* 예컨대 TV수신 카드. 1990년대 중반에는 멀티미디어 붐으로 인해 TV 수신카드나 AV 출력카드가 인기있는 옵션이었다. 그렇지만 그러한 기능이 기본제공되면 본체 가격이 올라가고 당연히 소비자는 구입을 주저한다.]을 제공하기 위해 채택되었다.  
* 키보드마우스 등의 입력기기 연결에 ADB(Apple Desktop Bus)라는 규격을 사용하였다. 생긴 것은 PS/2 포트와 유사하지만 키보드 마우스 단자의 구별이 없고, 최대 5개 까지 직렬로 연결이 가능하다. 즉, 현재의 USB처럼 본체에 키보드를 연결한 뒤, 키보드에 달린 ADB 포트에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단, 핫 플러깅 기능은 없다. iMac 등장과 함께 USB로 대체되었다.
* PC의 경우 대체로 SCSI가 옵션이었으나 맥은 메인보드에서 이를 기본으로 지원하였다. 따라서, 내장 하드디스크와 (내/외장) CD-ROM 드라이브에 기본적으로 SCSI 장치가 장착되었다. 성능면에서는 당시의 IDE나 AT-BUS 보다 나았으나, 가격이 비쌌다. 결국 PowerPC 맥의 등장을 전후하여 보급형 맥에는 ATA 방식 하드디스크가 탑재되기 시작했으며, ATA의 성능 향상과 더불어 파워맥 G3 후기형 이후의 전문가형 맥에서도 SCSI는 기본 I/O 인터페이스로서의 자리를 내놓게 되었다. 한편, 노트북 기종에서는 계속해서 IDE(ATA) 방식 하드디스크만 사용되었다.
* wiki:"단자/데이터 입출력" 직렬/병렬 포트의 모양도 달랐다. PC의 그것과 전혀 다른 것은 아니어서 하위호환성은 가지고 있었으나, 어쨌든 포트 모양은 다르고 PC용 프린터나 외장형 모뎀을 바로 연결할 수는 없었다. iMac 이후 USB를 채택하게 되면서 직렬/병렬 포트 자체가 맥에서 사라진다.
* 애플의 독자적인 규격은 아니지만, 전동식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도 맥의 특징이었다. 데스크탑(=윈도의 바탕화면)의 플로피 디스크 아이콘을 마우스로 끌어다 휴지통에 버리면 모터음이 들리면서 탁하고 ~~마치 토스터기에서 식빵 튀어나오듯~~ 디스크가 자동으로 튀어나왔는데 이는 참으로 간지나는 모습이 아니라 할 수 없었다(...)
* 모니터 연결 단자의 모양이 달랐다. '맥마스터'라는 컨버터를 이용하면 IBM 호환 PC용으로만 만들어진 모니터를 연결할 수 있었다. iMac의 등장과 함께 wiki:"단자/영상" D-SubDVI로 대체되었다.
* 파워맥 G4 ~ G5 시절에는 모니터 연결에 ADC(Apple Display Connector)라는 단자를 이용하였다. DVI와 USB 연결[* 애플이 제작하는 모니터에는 USB 허브가 장착되어 있었다.], 전원공급을 하나의 케이블로 할 수 있는 규격이긴 하나, 모니터의 전원을 맥이 담당하게 된다는 점에서 무리가 전혀 없다고 할 수 없었다. 현재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 대체로 확장성이 시망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그러나 스티브 잡스가 축출된 이후에 만들어진 맥들은 NuBUS 확장슬롯이나 램 추가 슬롯 등이 준비되어 확장성이 부여되었고[* 원래 스티브 잡스는 매킨토시에 확장성을 부여하기 원하지 않았고, 가전제품과 같은 맥을 만들기 원하였다. 확장성이 생기는 순간 하드웨어의 통일성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게임기들이 PC보다 낮은 하드웨어 사양으로 성능을 100% 뽑아내고, 골치아픈 설정 따위 필요 없는 것은 하드웨어의 통일성 때문이다.], 1997년 스티브 잡스의 ~~재림~~ 복귀 이후에 만들어진 맥들의 경우 PC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확장규격을 채택하여 저렴하게 확장을 위한 부품을 수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본체의 디자인 자체도 손쉽게 분해 및 조립 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이 '쉽다'는 것은 애플에서 사용자가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의도한 부분에 한한다. 예컨대 iMac G3의 경우 사용자가 업그레이드가능한 부분인 램의 추가를 위해서는 동전 하나만으로 케이스를 열수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인 하드디스크의 교체를 위해서는 수많은 나사를 풀어야 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친절하게 분해 설명서(단, 애플이 열도록 허락한 부분까지)도 제공한다. 다만, 2013년 2월 현재 레티나 디스플레이 맥북프로나, 맥북 에어처럼 램조차도 로직보드에 납땜되어, 주문시 사양 변경을 제외하면 확장의 여지가 없는 제품들이 몇 존재한다.
* 놀랍게도(?) *****U 업그레이드가 가능했다. 다만 NuBus나 PDS, PCI 슬롯에 신형 *****U가 장착된 확장카드를 꽂는 방식으로 행해졌다. 당연히 소켓에 새 *****U를 꽂는 것과는 다르다.[* 어차피 PowerPC 칩을 개인이 사는 것도 불가능하고, 상당수의 맥은 *****U를 로직보드에 납땜하는 식으로 만들어졌기에 PC와 같은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했다.] 당연히 이러한 업그레이드를 대체로 달가워하지 않는 애플은 OS 업데이터에 해당 확장카드를 무력화시키는 코드를 숨겨두거나 하기도 해서 문제가 되었다. OS의 판매용 패키지의 요구사양에는 *****U를 업그레이드한 경우를 제외한다는 문구가 명시되었던 것은 물론이다.(...)
* x86칩이 장착된 확장카드도 있었다. 486은 물론 펜티엄 버전까지 출시되었다. 확장카드 위에 IBM 호환기종의 메인보드와 VGA, 사운드카드([사운드 블래스터] 호환)를 집적한 다음 맥의 로직보드 위에서 공유할 수 있는 것(RAM)은 공유하는 방식. 출고 당시부터 이러한 확장카드가 기본으로 장착된 맥을 애플이 직접 판매하기도 하였다.
* 본체의 전원 버튼이 아니라 키보드의 전원 키/버튼으로 on/off가 가능했던 것도 올드 맥 유저들이 기억하는 맥의 간지나는(!) 특징 중 하나. 2000년대 초반까지도 애플 USB 키보드에 전원 버튼이 존재하였으나, 이후 원가절감(...)을 이유로 사라졌다. 

기타

매킨토시 128k 발표 키노트. 캐치프레이즈가 매킨토시, 존나좋군?(Macintosh - Insanely Great)이다... 최첨단 3.5인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와 [wiki:"보이스웨어" 스피치 기능]을 탑재했다고 자랑하고 있다. #

영화 월E에서 주인공 월E가 태양광으로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장면이 있는데, 그 때 나오는 효과음이 바로 매킨토시의 시동 알림음이다.

2014년 1월 24일로 출시 30주년을 맞았다. 애플 공식 사이트에 이를 기념하는 페이지가 신설되었다. [보러가기][* 여담이지만 타임라인에서 1988년을 보면, 한국 시각디자이너 안상수씨의 이야기도 나와있다.]

모델

1984년 ~ 1989년

* 매킨토시 128K (1984) - 맨 처음 모델. 최초의 상업적으로 성공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퓨터다. 길다. 램 용량이 128K고 *****U는 8Mhz MC68000으로 요새 보면 웃기는 스펙이지만 당시로써 크게 부족한 스펙은 아니었다. 다만 램은 많이 부족해서 나중에 512K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 매킨토시 XL (1985)
* 매킨토시 플러스 (1986)
* 매킨토시 II (1987 ~ 1992)
* 매킨토시 SE (1987 ~1989)
* 매킨토시 포터블 (1989)  - 흑역사

1990년 ~ 1997년

* 매킨토시 클래식 (1990 ~ 1993)
* 파워북 1xx (1991), 파워북 듀오 (1992), 파워북 5xx, 파워북 1400, 2400, 3400, 5300
* 매킨토시 LC (1990 ~ 1993)
* 매킨토시 쿼드라 (1991)
* 매킨토시 퍼포마 (1992 ~ 1997) - 별개의 기종은 아니고, 기존에 있는 모델들을 백화점 판매용으로 리네이밍한 것. 파워 매킨토시 시기까지 나왔다.
* 매킨토시 센트리스 (1993) 
* 매킨토시 TV (1993) - 흑역사.
* 파워 매킨토시 (1994)
* 파워북 5300 (1995) - 최초의 Power PC 장착 모바일 기종. 최초로 [소니]제의 리튬이온전지를 채택하였으나, 잇다른 화재로 리콜되어 결국 니켈-카드뮴 축전지를 사용하게 되었다.
* 파워북 듀오 2300 (1995) - 파워북 5300과 같이 등장한 기종으로 이쪽은 최초의 Power PC 기반 장착 서브노트북이며 파워북 듀오 라는 명칭을 사용한 마지막 기종이다.
* 파워북 1400 (1996)
* 파워북 3400 (1997)
* 파워북 2400 (1997) - IBM과 공동작업을 통해 디자인되었다는 점에서 격세지감을 느끼게 해준 노트북. 맥북 에어가 등장하기 전까지 한동안 서브 노트북이 없었던 매킨토시 시리즈였던 관계로, 이 제품을 그리워하는 맥 사용자들이 많았다.
* 20주년 기념 매킨토시 - 1997년에 나온 애플 20주년 기념모델. 전 세계적으로 12000대만 생산된 한정판.

1997년 ~ 2006년

* 파워북 G3/G4 (1997 ~ 2006) G4 기종은 티타늄과 알루미늄 소재로 되어서 TiBook. AlBook 등의 별명이 붙었다.
* 아이북 (1999 ~ 2006)
* 파워 맥 G3/G4/G5 (1997 ~ 2006) 현재 맥 프로 디자인은 파워 맥 G5 때부터 이어진다.
* 아이맥 G3/G4/G5 (1998 ~ 2006)
* 이맥 G4 (2001)
* 맥 미니 G4 (2004 ~ 2006)
* 엑스서브 G4/G5 (2003 ~ 2006)

2006년 이후 제품 중 단종된 모델

* 엑스서브 (2006 ~ 2011)
* 맥북 (2006 ~ 2011)

현재 모델

* 아이맥 (1998 ~)
* 맥 미니 (2005 ~)
* 맥 프로 (2006 ~)
* 맥북 프로 (2006 ~)
* 맥북 에어 (2008 ~)

참조 항목

* 애플 I
* 애플 II
* 애플 III
* 애플 리사
* 아이팟
* 아이폰
* 아이패드

McIntosh(오디오)

https://blog.chosun.com/web_file/blog/271/17271/1/mc.jpg https://www.mcintoshlabs.com/Assets/Images/Products/MC275/XL_MC275-_D.jpg&width=600 Mcintosh Laboratory. 사진은 매킨토시를 상징하는 제품 중 하나인 MC275 진공관 앰프.

현재 하이파이 오디오 업계에서 가장 유명한 회사 중 하나.

많은 사람들이 매킨토시라고 하면 애플의 매킨토시 컴퓨터부터 떠올리며 이쪽을 후발주자 혹은 이름을 빌린쪽으로 보고 있으나 사실 이 쪽이 원조이며 애플 社 역시 매킨토시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보상 라이센스 비용을 매킨토시 연구소에 내고 있다.

1946년 프랭크 H. 매킨토시(창립자)와 고든 J. 가우(엔지니어)에 의해서 TV방송용 음향기기를 제작하여 판매하는 소형업체로 시작했었다. 1949년 빙 햄튼으로 회사를 이전하고 1949년 50W-1 파워엠프 및 1950년 AE-2 프리엠프와 같은 오디오 업계의 전설적인 제품을 선보이며 본격적인 하이엔드 하이파이 업계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1948년에 특허를 낸 유니티 결합 회로 기술을 통하여 출력을 크게 내기 힘든 진공관 엠프에 채널 당 300W라는 압도적인 출력을 낼 수 있도록 개발하고, 바이파일러 와인딩 출력 트랜스포머 기법을 현재까지 매킨토시 제품들에게 일관되게 적용되고 있다. 두 설립자의 정신 중 하나인 우수한 성능을 내며 매우 높은 견고함과 내구도를 갖춘 제품의 생산, 그리고 약 70년 가까이 그들의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기술을 계승하는 설계로 하이엔드를 추구하는 매니아들에게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특히 오디오 업계의 발전에 따르며 1960년대 트랜지스터(TR) 제품이 밀고 올라오는 시대에도 밀리지 않았는데, TR 제품과 진공관 제품이 꾸준히 성능이 발전하면서 퇴화하거나 기술이 쇠락하지 않고 오히려 좀 더 강력하게 발전시켜 낸 덕분에 하이파이 오디오 매니아들에게 조금 더 환상적인 업체로 인식되게 되었다.

매킨토시 제품들은 특유의 특징이 있는데 첫 번째로 창립 당시부터 꾸준히 사용되는 푸른색 전면 패널 디자인을 갖추고 있다.[* 단, 업무용에서 출발한 진공관 파워앰프 제품군의 경우 전면 패널이 없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많이 매킨토시 매니아들이 이 푸른색 전면 패널에 반해서 매킨토시를 선호하는 경우까지 있을 정도로 멋진 외관을 자랑한다.[* 심지어 컴퓨터나 아이폰용 음악 플레이어의 스킨으로 매킨토시의 패널 레벨미터를 깔아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이는 고든 J. 가우에 의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밤에 비행기 활주로에 들어온 불빛을 보고 착안하여 미시건 대학의 협조로 완성해낸 부분이다. 매킨토시 매니아들에게 아직도 사랑받고 새로운 유저들을 유혹하는 독창적이고 미적인 부분이다. (실재로 파워엠프의 대형 인디케이터를 보면 대부분 하이파이 매니아들은 구매하고 싶어지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물론 몇 천만원 대의 부담스러운 가격에 포기하게된다.)

두 번째로 하이파이 오디오라면 가장 중요한 사운드에 있다. 특유의 안정적인 회로 설계 및 기능까지 신경써서 설계한 덕분에 안정적이며 박력넘치고 열정적으로 굵직 굵직한 질감의 사운드를 매우 높은 해상력으로 재생시켜 주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로 인해 아직까지도 전문적인 오디오 잡지나 해외 엔지니어들 모두 계측 및 실재로 사람이 체감하는 사운드까지 모두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현재는 1990년에 일본의 Clarion 社로 소유권이 넘어간 이후[* 당시 Clarion 회장이 매킨토시를 인수하면서 한 "우리는 매킨토시가 좋다. 뭘 바꿀 생각은 없으니 하던대로 쭉 해주기 바란다"는 연설이 유명하다.], 2003년에 D&M 홀딩스[* 다른 명품 오디오 브랜드인 Marantz, Boston Acoustics도 소유하고 있는 회사이다.]로 다시 소유권이 넘어갔다. 마지막으로 2007년에 D&M 홀딩스의 자회사인 주식회사 매킨토시 재팬을 설립하여 가정용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고 있으나, 차량용 오디오는 아직 Clarion 社가 담당하고 있다.

CDP,SACDP 등의 소스부터 시작하여 스피커까지 모든 세트를 모두 생산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을 아직까지 계속 꾸준하게 생산하고 있으나 가격은 무척 높다. 하이엔드 풀 세트로 장만할 경우 억 단위가 넘는 어마어마한 고가가 들게 되니 참고.

한국에서는 로이코 社가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청음실까지 성실히 갖춰두고 있다. 구매 전에 청음을 원할 경우 서울시 마포구에 위치한 쇼룸이 있으니 사전에 연락 후 내방하면 충분히 감상할 수 있다. 다만 로이코는 매킨토시 만이 아닌 에어, B&W, 제프 롤랜드, 린, 크렐 등의 여타 하이엔드 하이파이 브랜드의 수입 대행사이기도 하므로 풀 매킨토시 만으로 구성된 시스템은 전시 및 청음이 불가능 하다. 매킨토시 만의 일관된 풀 세트 구성을 위한 청음을 원할 경우 용산 혹은 전국 각지에 있는 대형 딜러샵에 문의 후 내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Cameron Mackintosh

영국 출신의 뮤지컬 프로듀서. 캐머런 매킨토시 항목 참조.

Big Macintosh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빅 매킨토시 항목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