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

From The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목차

소개

https://big5.chinataiwan.org/gate/big5/www.taiwan.cn/zt/jlzt/zywhbdx/ytjl/ytjl/200912/W020091214664210182637.jpg

韓非子. Han Feizi. (BC280? ~ BC233)

중국 전국시대철학자. 본명은 한비(韓非)이다. 전국시대 말기에 (韓)나라에 살던 공자(公子)로 한왕(韓王) 안(安)의 서자로 태어났다. 법치주의를 주장했으며 법가를 집대성한 철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보통이라면 '한자(韓子)'라고 해야겠지만, 후에 의 한유를 한자라 불러 헷갈리지 않도록 이름을 통째로 넣어서 한비자로 불린다.

젊어서 (秦)의 이사(李斯)와 함께 순자(荀子)의 밑에서 동문수학했다. 이사는 매우 언변이 뛰어났으나 한비자는 말더듬이었다고 한다. 허나 학문에 있어서는 이사가 한비자에 미치지 못했다. 이 때 한비자는 법가 뿐만 아니라 도가, 유가, 묵가 등 여러 학문을 두루 섭렵하고 법에 의한 부국강병의 논리를 정립했다. 한비는 철학자 중에서도 형명가(刑名家)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형명학을 주장하는 사람이란 뜻이며 형명학은 명실론(名實論)[* 이름과 실상이 부합하는지 여부를 따지는 논법]을 법의 적용에 응용하려던 일종의 법률학이다. 한나라는 전국칠웅 중에서도 문화가 떨어지고 당시에는 세가 기우는 형국이어서 한비자는 이를 걱정하여 여러 계책을 한왕에게 간하였으나 별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진시황이 매우 존경했던 인물로도 유명한데, 사마천사기에 의하면 한비자가 쓴 저서인 고분(孤憤)과 오두(五蠹)를 본 진시황이 크게 감명을 받아 "이 사람과 교유한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다"라고 했다고 한다. 진나라의 재상이 된 이사는 "한비를 얻고 싶다면 한나라를 공격하라. 그러면 한비가 사신으로 올 것이고 그때 회유하면 된다"라고 진시황에게 간한다. 물론 그게 아니라도 어차피 공격을 했겠지만.

어쨌든 대륙 통일의 신호탄으로 한나라를 공격했을 때 한나라에서는 예상대로 한비자를 사신으로 보내어 침공을 막으려고 하였고, 한비자는 진시황에게 가서 한나라를 공격하지 말고 조나라를 공격해야 하는 이유를 진시황에게 설명했는데

첫째. 한나라는 이미 진나라의 속국이나 다름없어 한나라를 공격하면 아무도 진나라를 믿지 않게 될 거다.
둘째. 한나라가 멸망하면 조나라가 즉각적으로 위나라와 동맹하여 조나라를 공격하기 힘들어진다.
마지막 이유. 조나라를 먼저 공격해 위나라와 제나라를 정벌하면 한나라는 편지 한통으로 항복하게 되니 굳이 공격할 필요가 없다.

이상 3가지 이유를 들었다.

한비자는 원래 말더듬이라 달변가는 아니였지만 논리 정연한 글솜씨에 진시황은 넘어가버리고 게다가 한비자는 진나라 같은 대국이 요가를 이용하여 뇌물로 타국의 관리를 매수하는 건 법가사상을 기초로 하는 진나라에겐 맞지 않다고 요가를 욕하였다.

이를 알게 된 이사와 요가는 진시황에게 한비자는 한나라의 왕족 출신이라 진나라에 대한 충성심이 조금도 없고 한비자가 이야기한 계책은 전부 한나라를 위한 계책이라고 설득하여 한바자를 감옥에 가두고 독살시켜버렸다.

여기서 만약 진시황이 한비자를 죽인 이사와 요가를 원망해 진상을 밝히고 이사와 요가를 처벌할려고 했다면 얼마든지 할 수 있었지만 진시황은 이사와 요가의 계획의 실용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그리하지 않았다. 대신 한비자가 죽은 이후 한비자를 사면하여 그의 정책과 사상을 이용하고 알릴 수 있게 하였다. 이사가 한비자를 죽인 것은 어디까지나 정치적 견해가 달라 죽일 수밖에 없는 것이지 한비자에 대한 질투가 아니었다. 설사 한비자와 친한 친구사이였다 해도 한비자가 한나라를 정벌하는데 방해가 되어 죽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 attachment:one_flying_sam12.jpg || || 삼국지 12 일러스트 || 삼국지 12에서는 전국칠웅 시나리오에서 한나라 소속으로 등장. 같은 동창(?)인 이사보다 통솔, 지력은 높고(각각 33, 90) 무력은 이사가 더 높고, 정치는 이사와 같다. 전법은 문무저하

한비자와 그 일파가 쓴 저서

전한 시대에 정리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비자와 그 후학들이 쓴 논저이다. 55편 20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한비자가 직접 쓴 것으로 추정되는 저서는 오두, 현학(顯學), 고분이다.

수백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한 성인을 기다리기보다는 평범한 사람들로도 굴러가는 제도 구축이 더 나은 일이라 역설하였고, 시대에 따라 세상이 변하가는 것인데 유학자들은 요순시대만 처다보고 있다고 소꿉장난하는 애들만 못하다고 대차게 깠다. 허나 본인도 지나치게 법과 세를 만능으로 보아 비현실적이 돼버린 것도 사실. 일례로 '특정색의 옷을 못 입게 하려면, 먼저 군주가 안 입는 모범을 보이기보다는 법으로 금하면 된다.'라든지, 강대국에 둘러싸인 약소국에게 '나라 말아먹을 외교에 신경쓰기보다는 법치로 강대국이 되면 된다.'라는 참 지극히 단순하면서 실행은 지극히 어려운 주장을...

또한 규정인 '법'과 운용의 '술'과 권세인 '세'에 관한 글과 아울러 군주된 자의 처신에 대해서 글을 남겼는데, 그 주 내용은 군주는 결정하는 기계가 되라는 것.

사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마키아벨리와 비교되기도 한다...고 주로 알려져 있으나, 실은 사상적 면에서 딱히 비슷한 점은 찾아보기 어렵다. 도가 특히 노자(도교가 아니다!)의 사상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노자의 도가가 무위자연의 자연적인 사상이라기 보다는 도덕경을 읽어보면 묘하게 치세의 술수를 강조한 측면이 나타난다. 장자와는 큰 관련은 없다. 당시의 다른 사상가들과는 다르게 세상이 진보하고 발전한다고 생각했다. 이것이 독특한 이유는 현대라면 보통 세상이 진보하고 발전한다고 생각하나 당시의 사상가들은 보통 요즘 세상은 썩었으니 요순시대로 돌아가야 함. 이런 생각을 가졌기 때문이다. 최초의 사회발전 사상을 가진 인물이다.[* 플라톤을 위시한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사회는 변화한다.'라는 명제는 받아들였지만, '나쁘게'라고 생각했기에, 변화를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인터넷상에서는 [wiki:"국가 막장 테크" 한비자의 나라가 망하는 10가지 징조]라는 글로 유명한데 원 출처는 다음과 같다.

[1] [2]

자세히 읽어보면 일부 문장은 한비자의 의도와 다르게 왜곡되었다는 점을 알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