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좌진

From The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emplate:인물 정보 김좌진(金佐鎭, 1889년 12월 16일 ~ 1930년 1월 24일)은 일제 강점기군인이자 독립운동가이다. 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끈 지휘관이었으며, 김동삼, 오동진 등과 3대 맹장(猛將)으로 불리기도 했다.<ref>하민지 인턴기자 2월에 기릴 인물, 독립운동가 오동진-문태수 선생 뉴스미션 2008년 2월 1일 작성</ref> 1930년 공산주의자 박상실<ref>박상실은 박상실이란 이름을 비롯해 박상범, 공도진, 최동범, 이복림 등 여러 가명만 있을 뿐 본명은 알 수 없다.</ref> 에게 피살되었다. 본관신 안동. 김상용의 11대손이며 는 명여(明汝), 는 백야(白冶)이다.

나이 17세에 집안의 가노를 해방 및 땅을 분배하였고 민족적 자립을 위한 한국의 무장 독립운동의 선봉에 서는 동시에 국가의 미래를 위한 교육사업도 활발히 펼쳐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인물 중 한 명이기도 하다.<ref>장군의 민족주의 김좌진 장군 기념사업회</ref>

생애

[[파일:청산리 전투직후 기념사진.jpg|썸네일|300px|right|1920년 청산리 전투 승전 기념]] 1889년 12월 16일(음력 11월 24일)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에서 출생하였다.<ref name="어머니">Template:뉴스 인용</ref> 3살 때 아버지 김형규를 여의었으나 넉넉한 살림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일은 없었다. 하지만, 아비 없는 자식이라는 손가락질하는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 모친인 한산 이씨에 의해 엄하게 교육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1904년 해주 오씨 오숙근과 혼인하였다. 1905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고 같은 해, 가노 해방 및 전답을 무상 분배한 뒤 1907년 호서(충청도) 지방을 밝게 한다는 즉 개화한다는 뜻인 호명학교를 설립하였다. 가산을 정리한 뒤 학교 운영에 충당하게 하고 90여 칸으로 된 자신의 집을 학교 교사로 제공했다. 홍성대한협회 지부와 기호흥학회를 조직하여 애국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다. 1909년 기호흥학회 장학재단을 설립하였고 한성신보 이사를 역임하였다. 안창호·이갑 등과 서북학회를 세우고 산하 교육기관으로 오성학교를 설립하여 교감을 역임하는 한편, 청년학우회 설립에도 협력하였다.

1911년 북간도에 독립군 사관학교를 설립하기 위하여 자금조달차 돈의동에 사는 족질 김종근을 찾아간 것이 원인이 되어, 2년 6개월간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다. 복역 중 김구와도 조우한다. 1913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출소한 김좌진은 “사나이가 실수하면 용납하기 어렵고 지사가 살려고 하면 다시 때를 기다려야 한다.”라는 시를 지었다. 1917년 대한광복단을 조직하여 박상진 등과 활동하다 1918년 만주로 망명하면서 “칼 머리 바람에 센데 관산 달은 밝구나 칼끝에 서릿발 차가워 고국이 그립도다 삼천리 무궁화 동산에 왜적이 웬 말이냐 진정 내가 님의조국을 찾고야 말것이다.”라는 시를 지었다. 대한정의단에 합류한 군사부문 책임자가 되었고 동 단체를 군정부로 개편한 후 사령관으로 추천되었다. 한편, 1918년 박상진이 체포되어 사형선고를 받았을 때 박상진을 구하기 위해 파옥계획을 세웠으나 실현은 하지 못했다.<ref>역사스페셜 잊혀진 영웅! 광복회 총사령 박상진 KBS 2010년 4월 10일 방송</ref>

1918년 무오 독립선언에 서명하였다. 1919년 북로군정서 사단장과 사관연성소 소장을 겸임했다. 1920년 10월 21일 청산리 전투를 지휘하여 일본군을 대파하였다. 1921년 대한독립군단을 결성했다. 1921년 자유시 참변이 일어나자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ref>Template:뉴스 인용</ref><ref name="중외일보2">Template:뉴스 인용</ref>

1925년 군사위원장 겸 사령관직 겸임한 신민부를 창건하였다. 또한 성동사관학교를 세워 부교장으로서 정예사관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때 대한민국 임시정부국무위원으로 임명했으나, 취임하지 않고 독립군 양성에만 전념하였다.

1928년 한국유일독립당을 조직하였고 1929년 한족총연합회 주석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민족주의계열과 공산주의계열 간에 갈등이 격화되었고 1930년 1월 24일 고려공산청년회 회원 박상실에게 피살되었다. 김좌진은 사망하기 직전 “할 일이…. 할 일이 너무도 많은 이때에 내가 죽어야 하다니. 그게 한스러워서….”란 말을 남겼다. 한족총연합회에서 사회장으로 치러졌다. 그의 장례에 참석한 중국 사람들은 고려의 왕이 죽었다고 애도하였다.

1933년 경성에 있던 부인 오숙근이 일제를 피해 만주로 다시 가서 상자에 김좌진의 유해를 위장하여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에 밀장한 뒤 1957년 김두한에 의해 지금의 장소로 이장되었다. 이듬해 사망한 부인 오숙근은 남편 김좌진과 함께 합장되었다.

1947년 김좌진을 추모하는 추모회가 열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1974년 보령시에서 김좌진의 성역화사업을 추진하고, 이와 동시에 그의 업적과 정신을 후세에 계승코자 매년 10월 22일에 행사가 개최되고 있다. 1999년 백야 김좌진 장군 기념사업회가 설립되었다.

평가

Template:부분 토막글 Template:인용문2

Template:인용문2

Template:인용문2

Template:인용문2

기타

Template:부분 토막글 공산 진영에서 김좌진이 친일로 변질했다며 비판하나 이는 자유시 참변으로 민족진영과 공산 진영의 대립으로 깎아내리기 위한 나온 말이며<ref>Template:인용문2 </ref> 실제로 김좌진은 좌우가 협력해 독립운동해야 한다는 민족주의이다.<ref>백야 김좌진장군 기념사업회</ref>

어록

Template:인용문2 Template:인용문2 Template:인용문2 Template:인용문2 Template:인용문2

가족

  • 조부 : 김병호(金炳皓)
    • 삼촌 : 김덕규(金德圭)
    • 아버지 : 김형규(金衡圭)<ref>원래 김형균이었으나 갑신정변 때 개명했다.</ref>
    • 어머니 : 한산 이씨 이상희
      • 첫째 부인 : 오숙근(정실 부인)
      • 둘째 부인: 김계월(정식 도 아니고, 그냥 동거하였다.)
        • 아들 : 김두한(사생아)
        • 며느리 : 이재희
        • 며느리 : 김부미
          • 손녀 : 김영채
          • 손자 : 김경민
          • 손자 : 김현성
        • 며느리 : 김순옥
          • 손자 : 김범상
        • 며느리 : 박정인, 아들 두한의 4번째 부인<ref>박정인이 야인시대의 박인애라는 일부 언론에서 기사화되기도 했으나 박씨 여성과 박정인은 별개의 인물이다.</ref>
          • 손자 : 김주택
      • 셋째 부인 : 나혜국(정실 부인)
      • 형 : 김경진(金敬鎭)
      • 동생 : 김동진(金東鎭)

관련 작품

영화

드라마

각주

Template:각주

참고 자료

  • 윤명숙, 《대한영웅전 1》 (국가보훈처, 1995)

바깥 고리

Template:무오 독립선언 민족대표 39인 Template:2000년-이 달의 문화 인물 Template:2005년-이 달의 독립 운동가

분류:1889년 태어남 분류:1930년 죽음 분류:조선 사람 분류:아나키스트 분류:사상가 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 분류:대한제국의 교육인 분류:대한제국의 군인 분류:대한제국의 언론인 분류:일제 강점기의 군인 분류:일제 강점기의 시인 분류:대한민국의 시인 분류:대한민국의 군인 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 분류:건국훈장 수훈자 분류:암살된 사람 분류:범죄 피해자 분류:테러 피해자 분류:화기에 죽은 사람 분류:반공주의자 분류:반일 감정 분류:홍성군 출신 분류:한국의 독립운동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 분류:한국의 장군 분류:안동 김씨 (신) 분류:김두한 분류:한국의 혁명가 분류:혁명가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