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From The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개요

나무(namu)는 나무 위키(Namu Wiki)와 더 시드(The Seed)의 설립자이다.

테스트 위키로서의 더 시드

더 시드의 다국어 버전

더 시드도 위키피디아처럼 다국어 위키가 될 수 있다. 양덕일덕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나무위키에 영어 버전과 일본어 버전 위키를 만들기 전에 더 시드에 먼저 적용해볼 수 있다. 이미 namu.wiki에 속한 많은 페이지들이 구글 검색어 상단에 올라가있기 때문에 영어와 일본어 버전 위키를 만들어서 인터위키화해도 쉽게 구글 검색어 상단에 올라갈 수 있을 것이다.

광고 부착

나무위키에 광고달기 전에 더 시드에 먼저 달아볼 수 있다. 그래서 반응이 나쁘지 않으면 영어와 일본어판 나무위키에도 달아보고, 그래도 죽창이 많이 날아오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한국어판 나무위키에 광고를 달면 된다.

그리고 더 시드에 광고할 업체도 구할 수 있다. 딥 웹익명이라 광고가 없을 것 같지만 딥 웹에도 광고가 있다.

위의 TORCH라는 검색 엔진처럼 광고를 직접 수주하거나 아래의 SIGAINT라는 이메일 사이트처럼 불명의 경로를 통해 광고를 수주받아서 광고 수익을 올리는 사이트들도 있다.

단, 더 시드는 나무위키 계열 사이트니만큼 불법 사이트 광고는 받으면 안 될 것이다.

만약 나무위키가 이런식으로 광고를 비트코인으로 직접 수주받을 경우 한 달에 최소 10 Btc(300만원)정도는 나올 것이다.(Korbit과 Bithumb의 비트코인 평균가가 1 Btc에 293,200원이다.) TORCH같은 듣보잡 검색 엔진도 한 달에 8.8 Btc의 광고 수입을 얻고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광고 수입 때문에 대한민국 국세청세금 문제가 생긴다면 세금이 없는 나라에 작은 쪽방 사무실 하나 임대해서 회사를 설립하는 방법도 있다.(아니면 아예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하면 나무위키는 명백한 외국 회사가 되기 때문에 대한민국 국세청에서 탈세 혐의로 손대기 힘들다. 아니면 사이트 운영에 쓰고 남은 돈을 유니세프(유엔 아동 기금) 등에 기부한다면 국세청에서도 크게 문제삼을 일은 없을 것이다. 모든 수입과 지출이 비트코인 주소로 공개되는데 남는 수익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런 국제단체를 후원한다면 위키피디아처럼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어 정부에서 쉽게 차단 조치를 취하기도 쉽지 않다.(사실 위키피디아에는 남녀 생식기 노출 사진이 꽤 많지만 차단되지 않는다.) 또한 나무위키가 영어와 일본어 버전도 제공한다면 국세청의 세무 조사 요청에 대해 나무위키는 위키피디아와 마찬가지로 해외 사이트에서 한국어 서비스 제공하는 거라고 주장할 수 있다.


TORCH 광고 수입

메인 페이지 광고 1 Btc * 6개 = 6 Btc

검색 광고 0.4 Btc * 7개 = 2.8 Btc

6 + 2.8 = 8.8 Btc

나무위키의 DB를 The Seed로 포크

나무위키:데이터베이스 덤프더 시드포크해올 수도 있다. 현재 더 시드는 위키로서 독자생존하기에는 너무 자료가 부실하다. 이런 문제를 탈피하기 위해 더 시드와 CCL이 같고, 같은 계열 사이트인 나무위키의 DB를 더 시드로 포크해올 수 있다. 만약 포크할 경우 문서 역사까지 포크해올 필요는 없고, CCL에 따라 각 문서의 원저작자만 표기해주면 된다.

현재 더 시드의 방문자 숫자로는 아무리 싸도 광고 게재를 신청할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더 시드에 나무위키 문서라도 있으면 나무위키에 광고 적용하기 전에 테스트삼아 광고 수주를 받아볼 수도 있을 것이다. 경매 입찰 보증금 걸고, 경매하는 방식이라면 누군가는 더 시드에 광고를 달 것이다. 예를 들어, 한 달 광고 기준으로 0.01 Btc(3천원)정도를 경매 입찰 보증금으로 걸고, 0.004 Btc(1,200원)정도부터 경매를 시작해서 최소 호가 단가는 0.001 Btc(300원)정도의 경매 입찰 방식이라면 누군가는 낙찰을 받을 것이다. 더 시드가 방문자가 거의 없는 사이트기는 해도 나무위키 계열 사이트이고, 3천원이면 편의점 아이스크림 2개 값밖에 안 되기 때문이다. 또는 TORCH처럼 아예 광고 단가를 namu가 정해서 공지하거나, 클릭 수에 비례하여 광고 요금을 청구할 수도 있다.

제일 편한 방법은 TORCH처럼 페이지 뷰에 기반하여 광고 단가를 계산한 후 공지하는 것이다.

관련 항목

참조

<references/>